정의>
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에 의해 경계가 명확하고 단단하며, 유두종성의 과각화성 표면을 갖는, 융기된 구진이나 판의 형태로 나타나는 피부 질환이다.
원인 및 발병기전>
유두종바이러스 2, 4, 7형(HPV type 2, 4, 7)에 의해 발병. HPV는 정상 표피 장벽의 손상을 통하여 사람에게 직접 침입한다.
감염은 상피에 국한되며, 전신적인 파종은 일어나지 않는다.
바이러스의 DNA는 각질형성세포의 DNA와 함께 복제된 후 상층부 세포로 계속 이동된다.
비교적 느린 생명 주기(life cycle)때문에 처음 감염된 후 임상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유두종을 형성하기까지는 적어도 수주 내지 수년이 걸린다.
증상>
병변의 표면을 떼어보면 모세혈관 고리가 검은 점으로 보인다.
경계가 명확하며, 단단한 융기된 구진이나 판으로 나타나며, 과각화증을 보이는 유두종성 표면을 갖는다.
단독으로 또는 떼를 지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압통은 없다.
손가락과 손의 등쪽에 가장 잘 발생하지만 발바닥이나 손바닥에도 발생할 수 있다.
드물게는 입안 점막에도 발생한다.
병리소견>
극세포증, 유두종증, 과각화증이 있다.
표피능이 길어져 있으며 병변의 주변에서는 중앙을 향해 안쪽으로 굽어져 있다(arborization). 다른 유두종들과 감별할 수 있는 특징으로는 공포화된 세포들(koilocytes), 이상각화증을 보이는 세포들의 수직 배열과 각질초자질 과립의 덩어리 등으로 초기 병변에서 뚜렷히 나타난다.
유두종의 꼭대기 부위에는 흔히 과립층이 존재하지 않으나 골짜기 부위에서는 과립층이 잘 발달되어 있어서 각질초자질 과립이 불규칙하게 뭉쳐져 있다.
진단 및 감별진단>
대부분 임상 소견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병리조직검사가 도움이 된다.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유두종바이러스 단백을 병변에서 증명하거나 분자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병변에서 직접 바이러스의 핵산을 검출하여 확진할 수 있다.
감별질환은 전염성 연속종, 피부근염에서의 Gottron구진, 유경 연성 섬유종(acrochordon), 천공성 윤상 육아종, 사마귀양 선단각화증(acrokeratosis verruciformis), 광택 태선, 편평 태선, 지루 각화증, 일광 각화증, 편평세포암 등이 있다.
치료>
성기부 이외의 사마귀에 대한 치료는 주로 냉동치료와 국소 각질용해제를 사용하며, 수술적 방법은 덜 이용된다.
살리실산(salicylic acid)을 함유한 반죽이나 살리실과 젖산(lactic acid)를 함유한 국소 용액 등이 좋은 효과를 보이는 안전한 치료법으로서 가정에서 환자가 직접 사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된다. 이외에 안전하면서도 특히 소아에서 효과적인 방법은 최면(hypnosis), 경구 cimetidine 투여 등이 있다.
Bleomycin의 병변 내 주입 요법도 효과적이다.
Podofilox, podophyllin resin, trichloroacetic acid 등의 국소 제제는 성기부 이외의 사마귀에는 효과가 없다.
Dinitrochlorobenzene이나 diphenciprone 등을 이용한 면역치료는 다른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사마귀에 시도해 볼 수 있다.
단순 절제술, 전기소작술, 소파술(currettage), 레이저 치료 등은 성기부 사마귀나 이외 지역의 사마귀에 모두 효과를 나타낸다.
부피가 큰 병변은 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청담오라클피부과의원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612 한일빌딩 1층
연락처 1800-7588
1577-1175(가까운 오라클피부과로 연결됩니다)
Copyright ⓒ OracleClinic Corp. All Rights Reserved.